본문 바로가기

기초연금

인쇄 전자점자 미리보기 전자점자 내려받기

목적

어르신들 생활의 어려움을 덜어드리고 연금 혜택을 공평하게 나누어 드리기 위하여, 2014년 7월 기초노령연금이 폐지되고 기초연금이 새롭게 시행됩니다.

기간

2014. 07. 01 부터(최초지급 07. 25)

대상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이고 한국 국적을 가지고 계시고 주민등록이 되어있는 어르신 중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이하(소득 하위 70%)인 분들께 드립니다.

  • 선정기준액 (2025년 1월 기준) :
    일반수급자 - 단독가구 월 228만원, 부부가구 월 364.8만원
  • 부부 중 한 분 만 신청하시는 경우도 부부가구에 해당합니다.
  • 공무원연금, 사립학교교직원연금, 군인연금, 별정우체국연금 수급권자 및 그 배우자는 원칙적으로 기초연금 수급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신청기관

1. 방문신청: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및 국민연금공단
* 국민연금지사는 주소지 상관없이 전국 신청가능
2. 온라인신청: 복지로(http://online.bokjiro.go.kr)
화면경로: 복지로 > 복지서비스 신청 > 복지서비스 신청하기 > 기초연금
* 온라인 신청 시에는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가 필요함

신청 구비 서류

필수 제출서류

  • 신분증(주민등록증, 자동차운전면허증, 장애인등록증, 여권 등)
  • 본인계좌 통장사본
    • 부부가 모두 기초연금 수급자인 경우에는 각각 본인계좌의 통장사본을 원칙으로 하되, 부부 모두가 동의하는 경우에는 대표자 1인이 본인계좌 통장사본 제출
  • 사회복지서비스 및 급여 제공(변경) 신청서
  • 소득·재산 신고서
  • 금융정보등(금융·신용·보험정보) 제공동의서(본인 및 배우자)

추가 제출서류

  • 월급명세서, 고용·임금확인서 등 소득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 각 1부
  • 전·월세 임대차계약서, 조합원 입주권 또는 청산금 납입영수증, 공동주택·오피스텔 등의 분양계약서 등 재산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 각 1부
  • 임대보증금을 확인할 수 있는 전세권 설정등기 또는 확정일자를 받은 임대차계약서 각 1부
  • 무료임대확인서, 사실(이)혼관계확인서

지급액

  • 국민연금 수급여부 및 수급액에 따라 차등지급
  • 최소 34,250원 ~ 최대 342,510원 지급(부부 동시 수급 시 1인당 최대 274,000원)
  • 급여액 : 선정기준액 – 소득인정액

지급일

  • 매달 25일
  • 신청일이 속한 달부터 지급
  • 수급자 선정이 지연되면 신청일이 속한 달을 기준으로 소급하여 함께 지급

업무흐름도

  • 제1단계 : 신청서 작성・상담 (읍·면·동 및 국민연금공단)
  • 제2단계 : 신청서 접수처리 (읍·면·동 및 국민연금공단)
  • 제3단계 : 조사가구유형 확정 (사회복지과 통합조사팀)
  • 제4단계 : 공적자료 요청 (사회복지과 통합조사팀)
  • 제5단계 : 소득재산 조사 (사회복지과 통합조사팀)
  • 제6단계 : 선정기준요건 확인 (사회복지과 통합조사팀)
  • 제7단계 : 수급자 결정 (노인장애인과 노인복지팀)
  • 제8단계 : 기초연금액 산정 (노인장애인과 노인복지팀)
  • 제9단계 : 기초연금급여액 결정 (노인장애인과 노인복지팀)
  • 제10단계 : 수급자 결정·통보·지급 (노인장애인과 노인복지팀)
  • 제11단계 : 수급자 관리 (노인장애인과 노인복지팀)
  • 제12단계 : 기초연금액 환수 부정수급관리 (노인장애인과 노인복지팀)

이의신청

  • 대상 : 자격인정, 그 밖에 처분에 이의가 있는 자
  • 기한 : 처분이 있음을 안 날로부터 90일 이내 신청
  • 신청기관 : 관할 읍·면사무소, 동 주민센터 및 국민연금공단
  • 이의신청에 대하여 접수일로부터 30일(60일) 이내에 통지

기초연금액 감액

감액에 따른 최소 지급액은 `25년 1월 기준 단독가구는 34,250원(기준연금액의 10%), 부부가구는 68,500원(기준연금액의 20%)

부부 감액

단독가구와 부부가구 간의 생활비 차이를 감안하여, 부부가 모두 기초연금을 받는 경우에는 각각에 대하여 산정된 기초연금액의 20%를 감액합니다.

소득역전 방지 감액

  • 만약 소득인정액이 85만원인 어르신이 10만원의 기초연금을 받으신다면, 기초연금을 못 받으시는 소득인정액이 88만원인 어르신보다 오히려 소득이 많아지게 됩니다.
  • 이렇게 기초연금 수급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불공평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득인정액과 기초연금 산정액을 합한 금액이 선정기준액 이상인 경우 기초연금액의 일부를 감액합니다.
  • 가구 단위로 선정기준액과 소득인정액의 차액을 적용한 후 개인 단위로 배분,
  • 선정기준액과 소득인정액의 차액만큼 기초연금을 지급
  • 감액에 따른 최소 지급액은 `24년 1월 기준 단독가구는 33,480원(기준연금액의 10%), 부부가구는 66,960원(기준연금액의 20%)

문의

거주지 동주민센터, 보건복지부(129), 국민연금공단(1355)

자세한 사항은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복지로에서 확인하세요.


담당자정보

담당부서 :
노인장애인과
문의전화 :
043-641-5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