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송학면

인쇄

송학면(松鶴面)

【면】제천시 행정 구역 1읍 7면 9동의 하나. 본래 제천군의 북쪽이 되므로 고종41년(1904) 북면이라 하여 도화리에 면사무소를 설치하고 신문(薪門), 만곡(晩谷), 무도위(務道尉), 금곡(金谷), 번자리(番自里), 입석(立石), 칠종(漆宗), 시곡(柴谷), 포전(浦田), 굴암(屈岩), 송한(松寒), 오미(五味), 노동(蘆洞), 지곡(芝谷), 도화동(桃花洞), 동막(東幕)의 16개 동리를 관할하다가, 일곡(日谷), 당곡(堂谷), 지곡(芝谷)의 3개리를 더 늘여서 19개 동리로 되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신담리(新潭里) 일부 지역과 동면(東面)의 송티리(松峙里) 일부 지역을 편입하여 송학산(松鶴山)의 이름을 따서 송학면이라 하여 1922년 무도리 218-2(무도길 14)로 옮겼다가 1976년에 시곡리 1157(시곡포전로1길 14-2) 현재 청사로 옮김. 장곡(長谷), 입석, 시곡, 무도, 도화, 포전, 송한, 오미의 8개 리로 개편 관할함. 1980년 4월 1일 제천읍의 시승격에 따라 제원군 송학면이 되었다가, 1995년 1월 1일 시군 통합으로 제천시 송학면이 됨. 동쪽은 강원도 영월군 서면, 서쪽은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과 봉양면, 남쪽은 제천시 장락동, 북쪽은 강원도 영월군 주천면과 원주시 신림면에 닿음.

도화리(桃花里)

[도화동]【리】본래 제천군 북면(北面)의 지역으로서, 복숭아꽃이 많이 피므로 도화동(桃花洞)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지곡리(芝谷里), 동막리(東幕里)와 신담리(新潭里)의 일부지역을 병합하여 도화리라 해서 송학면에 편입됨. 1980년 4월 1일 제천시 시승격으로 인하여 제원군 송학면 도화리가 되었다가 1995년 1월 1일 시군통합으로 제천시 송학면 도화리가 됨. 가래실【마을】도화동의 서북쪽 마을. 광-암(廣岩)¹【마을】광암이 있는 마을. 광-암(廣岩)²【바위】도화동 서쪽에 있는 넓은 바위. 근방에 너럭바위가 많고, 앞내에 물고기가 많으므로 천렵터로 유명하였다 함. 도장골【마을】 도화-동(桃花洞)【마을】→ 도화리. 동막(東幕)[북동막]【마을】→ 광암 서북쪽에 있는 마을. 금성면 동막리와 구별하여 북쪽이 되므로 북동막 이라고도함.동쪽이 막히어 동막이라함. 박효자-문(朴孝子門)【정문】 동막예 잇는 효자 정문. 조선 인조(仁祖) 때 박 전(朴?)이 아버지 병환에 백방으로 약을 썼으나 낫지 않으므로, 손가락을 깨물어 피를 내어 드렸으며,때 아닌 배를 먹고 싶어 하므로 배를 찾아 헤메다가, 앞 내에 이르니 갑자기 큰 비가 내려 냇물에 작은 나무궤가 떠내려오므로, 건져 열어보니 배가 가득히 들어 있어 아버지께 드려 효혐을 보았으므로, 이는 하늘에서 보낸 효자라 하여 나라에서 정문을 내리고 표창하였다 함. 벌말,안말【마을】도화동의 중심 마을. 복사터【마을】 북-동막(北東幕)【마을】 → 동막. 신-담(新潭)【마을】동막 서쪽에 있는 마을. 못이 있었음.옛날부터 잡목 잡초가 무성한 곳이었는데 현재는 큰 윗못이 생기어 영구 불변하는 신담이 되었음. 신광-사(神光寺)【절】→ 도화동에 있는 절. 아래쇳골,윗쇠골【마을】현재 개나리 공원 묘지가 있는 곳(사람이 죽어서 쇠한 뼈 즉 낙골) 안말【마을】한산 이씨가 1904년(甲辰年)경 터를 잡고 살았다. 욋댁골,아래댁골【마을】 이장군-영정각(李將軍影幀閣)【사당】임진왜란 때의 3등 공신이 기(李沂)의 영정을 모신 사당. 주노골(주녹골)【마을】 중들【들】가래실 위 들이다. 지-곡(芝谷)【마을】→ 지실. 지-실[지곡]【마을】→ 도화동 동북쪽에 있는 마을. 지-실[지곡]【마을】→ 도화동 동북쪽에 있는 마을. 직치(?峙)【골】즉치,피재골,옛날 난리에 은거하다가 피난민들이 상황에 따라 오미리로 가고 명암으로 갔다고 함.피재골을 넘아 가면 이제 살았구나 하고 노래를 불렀다하여 황가댁이라 칭하기도 한다.

무도리(務道里)

[뭇두, 뭇도, 무도, 뭇도위, 무도위, 무도위리] 【리】본래 제천군 북면(北面)의 지역으로서, 뭇두, 뭇도, 뭇도위, 무도(務道), 무도위(務道尉)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만전리(晩田里)와 신문리(薪門里)를 병합하고 동면(東面)의 송티리(松峙里) 일부지역을 편입하여 무도리라 해서 송학면에 편입됨. 소재, 만지 서문의 3개마을로 이루어짐. 1980년 4월 1일 제천시 시승격에 따라 제원군 송학면 무도리가 되었다가 1995년 1월 1일 시군통합으로 제천시 송학면 무도리가 됨. 개근래,장성거리【들】마을 앞의 들녘. 갱기【들】 서문리에서부터 내려오는 골짜기. 골담【마을】뚝으로 된 지역을 부르는 명칭. 기동(基洞)【마을】→ 턱골. 도둑골(무도2리)【골】사기장공에서 도자기를 훔쳐가는 골자기의 명칭. 독바위【바위】아이 못 낳는 여성이 돌을 던져 맞추면 아이를 낳는다는 이야기가 구전됨. 만-곡(晩谷)【마을】→ 만지실. 만전-리(晩田里)【마을】→ 만지실. 만지- 실[만전리, 만곡]【마을】뭇도 서남쪽에 있는 마을. 양지만지실과 음지만지실로 나뉘어 있음. 무도(務道)【마을】→ 무도리. 무도-교(務道橋) 【다리】→뭇도 어귀에 있는 다리. 길이 29m. 1961년 9월에 놓음. 무도위(務道尉)【마을】→ 무도리. 무도위-리(務道尉里)【마을】→ 무도리. 무재등【산】 수리봉.정월 보름날 달맞이를 하는곳. 뭇도【마을】→ 무도리. 뭇도위【마을】→ 무도리. 뭇두【마을】→ 무도리. 방아-다리[방학교]【다리】 무도 서남쪽에 있는 다리. 방아채로 놓았다함. 방축【들】 들을 막았다하여 붙인 명칭. 방학-교(放鶴橋)【다리】→ 방아다리. 배-고개【고개】→ 뱃재. 본-동(本洞) [원무도]【마을】 무도리의 원이름. 북바위【바위】왕박산에 있는 바위. 바위밑에 의흥박씨가 피란하였다고 전함. 불당-공(佛堂-) 【마을】 서무니 남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 불당이 있었다함. 사기장골(무도2리)【골】도자기를 굽었다하여 붙인 명칭. 사기장골【골】[통불사]가 있는 곳의 골짜기. 사동(師洞)【마을】→ 시시골 삭고개¹【마을】무도3리 마을회관 있는 마을. 삭고개²【고개】마을로 올라가는 고개. 산지당【당】큰골위에 위치한 옛날 치성을 드리던 곳. 삼박골【골】박씨 성씨를 가진 3가구가 살았다 하여 붙인 명칭. 삼밭골【골】치성을 드려 삼을 캤다하여 붙인 명칭.무도1리 남쪽의 골짜기. 삼상【언덕】뱃재에서 양만전에 이르는 구릉으로서 훗날 재상이 태어날 것이라는 뜻으로 전해짐. 서무니 [신문리, 신문]【마을】만지실 남쪽에 있는 마을. 어귀에 길 양쪽으로 큰 돌이 문처럼 서 있었다 함. 소나무【고목】마을 입구에 있는 수령 300년 정도의 소나무로 수형이 수려하여 마을 사람의 신앙의 대상이 되고 있다. 정초에 이곳에서 동제를 지냄. 송학-역(松鶴驛)【역】화랑뜰 앞에 있는 기차역. 함백선의 첫째 역으로 함백선 개통 때 세움. 수구제 【당】마을 어귀에 있음.매년 정월 초사흘에 제사를 지내고 있음. 시루봉【산】큰골 위의 뒷산. 신문(薪門)【마을】→ 서무니. 신문리(薪門里)【마을】→ 서무니. 안산【산】 왕박산에서 마을로 이어지는 작은산 양-만전(陽晩田)【마을】→양지만지실 양지-만지실[양만전]【마을】만지실 북쪽 양지에 있는 마을. 와둥지【골】 옛날에 기와를 굽던 곳이라 함. 왕박산【산】강원도와 접경에 있는 산으로 금반옥녀(金飯玉女)의 명당자리가 있다고 전해짐. 왕백산 【산】무도1리 남쪽에 위치한 산. 용바위【바위】독바위 앞의 바위. 웃담.아랫담【마을】무도1리로 우회도로로 윗마을.아랫마을을 부르는 명칭. 원-무도(元務道)【마을】→본동. 음-만전(陰晩田)【마을】→음지만지실. 음-방학(陰放鶴)【마을】→ 음지방아다리. 음지-만지실[음만전]【마을】→ 만지실 남쪽 음지에 있는 마을. 음지-방아다리 [음방학]【마을】→ 음지방아다리. 이-티(梨峙) 【고개】→뱃재. 배고개. 이-현(梨峴)【고개】→ 뱃재. 절-골【골】 만전에 있는 골짜기. 전에 절이 있었다 함. 절골재 【고개】무도1리에서 절터로 넘어가는 작은 고개. 점재¹【마을】불당골 윗마을. 점재²【고개】불당골에서 점재 마을로 올라가는 고개. 정지너머【언덕】양만전에서 동쪽에 위치한 지역.현재 상수도 사업소가 위치함. 조리-재 [조을티,조올티] 【고개】서무니 동쪽에서 강원도 영월군 남면 토교리(土橋里)로 가는 재. 지형이 조리처럼 생겼다 하는데 조선 시대 영월로 가는 관행길이었음. 조올-티(曺兀峙)【고개】→조리재. 조을-티(曺乙峙)【고개】→ 조리재. 큰골 【골】무도1리 남쪽의 골짜기. 통불사【절】사기장골에 있는 절. 패-현(敗峴)【고개】→뱃재. 팻-재【고개】→ 뱃재. 현좌(縣左)【들】현좌, 동막골. 고암농공단지가 들어섬. 화랑-뜰¹【마을】뭇도 앞에 있는 마을. 화랑뜰이 있음. 화랑-뜰²【들】 뭇도 서남쪽에 있는 들. 옛날에 화랑이 놀다 갔다함.

송한리(松寒里)

[솔안, 송한]【리】 본래 제천군 북면(北面)의 지역으로서 쇠가 났으므로 소난이, 솔안 또는 송한(松寒)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굴암리(屈岩里)를 병합하여 송한리라 해서 송학면에 편입됨. 1980년 4월 1일 제천시 시승격에 따라 제원군 송학면 송한리가 되었다가 1995년 1월 1일 시군 통합으로제천시 송학면 송한리가 됨. 가실-곡(加實谷)【마을】→ 가실골. 가실-곡(加實谷)【마을】→ 가실골. 가실-골[가실곡]【마을】 굴바우 서남쪽에 있는 마을. 굴-바우? [굴암]【마을】굴바우가 있는 마을. 굴-바우? [굴암]【바위】솔안 동남쪽에 있는 바위. 밑에 굴이 뚫려 있음. 굴-암¹(屈岩)【마을】→ 굴바우. 굴-암²(屈岩)【바위】→ 굴바우. 너갈-티¹(汝渴峙)【산】너갈티 고개가 있는 산. 너갈-티²(汝渴峙)【고개】 솔안 남쪽에서 포전리로 넘어가는 고개. 능골(윗말)【골】미고개 윗 지역 다랫-양지[다양지]【마을】주막거리 양지쪽에 있는 마을. 다양지(多陽地)【마을】→ 다랫양지. 독정-촌(獨停村) 【마을】→ 독종말.송한2리 마을회관이 있는동리 독종-말 [독중말, 독종촌]【마을】 주막거리 서쪽에 외따로 있는 마을. 돌-매기?[석항]【마을】돌매기 밑에 있는 마을. 돌-매기?[석항]【고개】산 뒤 서북쪽에 돌매기로 가는 고개. 돌이 많음(마을 사람들은 돌무기라고 부르기도 함.) 미-고개 ¹(未古介) [미현, 미티, 미현동]【마을】 미고개 밑에 있는 마을. 미-고개 ²(未古介) [미현, 미티]【고개】 솔안 동북쪽에 있는 고개. 미고개에서 강원도(江原道) 영월군(寧越郡) 주천면(酒泉面) 금마리(金馬里)로 가는 고개. 높이 346m. 옛 무덤이 있으며 조선 시대 쇠가 났다 함. 미-고개?(未古介) [미현, 미티. 미현동]【마을】미고개 밑에 있는 마을. 미-고개?(未古介) [미현, 미티] 【고개】솔안 동북쪽에 있는 고개. 미-티¹(美峙)【마을】→ 미고개. 미-티²(美峙)【고개】→ 미고개. 미-현¹(美峴)【마을】→ 미고개. 미-현²(美峴)【고개】→ 미고개. 미현동(美峴洞)【마을】→ 미고개. 바랑 양지들【들】햇살이 많이 쪼이는 들. 사-곡(寺谷)【마을】→ 점골. 사그막-재【고개】솔안 북쪽에서 강원도(江原道) 영월군(寧越郡) 주천면(酒泉面) 금마리(金馬里) 사그막으로 가는 고개. 산-뒤【마을】굴바우 동북쪽에 있는 마을. 송학산 뒤가 됨. 상-솔안[상송한]【마을】 솔안 위쪽에 있는 마을. 상-송안【마을】→ 상솔안. 상송한【마을】→ 상솔안. 석-항¹(石項)【마을】→ 돌매기. 석-항²(石項)【고개】→ 돌매기. 솔안【마을】→ 송한리. 송한(松寒)【마을】→ 송한리. 승광사(僧光寺)【절】 송한리에 있는 절. 석탑과 옛 기와 조각이 흩어져 있음. 엄승-곡(嚴僧谷)【마을】→ 엄승골. 엄승-골[엄승곡]【마을】상솔안 서남쪽에 있는 마을(엄씨 중이 죽었다 함) 오효자-비(吳孝子碑)【비】산 뒤에 있는 효자(孝子) 오 인용(吳仁庸)의비. 웃-산뒤【마을】 산뒤 위쪽에 있는 마을. 윤효열-비(尹孝烈碑)【비】송한리에 있는 이시진(李時振)의 처 윤씨(尹氏)의 효열비. 은행나무-땀【마을】솔안 북쪽에 있는 마을. 은행나무가 있음. 잣나뭇-골【골】솔안 북쪽에 있는 골짜기. 잣나무가 많았음. 절-골 [사곡]【마을】엄승골 동남쪽에 있는 마을. 절이 있었음. 조리-재【고개】 솔안에 있는 고개. 옛 제천에서 영월로 가는 관행 길이었음. 주막-거리 [주막동]【마을】 솔안 동쪽에 있는 마을. 옛 관행 길가에 주막이 있었음. 주막-동(酒幕洞)【마을】→ 주막거리.주막이 있었음. 중-말[중촌]【마을】상솔안과 하솔안 사이에 있는 마을. 중-촌(中村)【마을】→ 중말. 중말,중촌(中村)【마을】송한2리 교회가 있는 동리 진-두득【마을】엄승골 옆 둔덕에 있는 마을. 청룡-등(靑龍-)【등】웃산 뒤 북쪽 청룡산 밑에 있는 등성이. 풀뭇-골【마을】 미고개 밑에 있는 마을. 미고개에서 쇠가 났을 때 쇠를 다루려고 이 곳에 풀무를 놓았었다 함. 하-솔안【마을】 솔안 아래 쪽에 있는 마을. 회나뭇-들¹【마을】회나뭇들 옆에 있는 마을. 회나뭇-들²【들】 솔안 앞에 있는 들. 회나무가 많았음.

시곡리(柴谷里)

[시곡]【리】 본래 제천군 북면(北面)의 지역으로서, 나무가 많으므로 시곡(?谷)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금곡리(金谷里)와 칠종리(漆宗里)를 병합하여 시곡리라 해서 송학면에 편입됨.송학면 소재지임. 1980년 4월 1일 제천시 시승격에 따라 제원군 송학면 시곡리가 되었다가 1995년 1월 1일 시군통합으로 제천시 송학면 시곡리가 됨. 가-무덤 【마을】→개무덤 가랫-골[추동]【마을】 개무덤 동북쪽에 있는 마을, 가래나무가 많았음. 가창산【산】무동산 뒤쪽에 위치한 산 강천-사(江天寺) 【절】 시곡 북쪽 송학산이 있는 절, 1948년 10월 15일 창건함. 개무-덤[가무덤] 【마을】 시곡 동남족에 있는 마을. 개무덤이 있었음. 골미산【산】(화이산,꽃미산)쇳골의 남쪽에 위치한 산으로 골미산으로 구전되어 붙인 명칭. 금곡-리(金谷里)【마을】→ 쇳골. 기픈-골[심곡동] 【마을】송학산 남쪽에 있는 마을로 골이 깊어 깊은골. 너-다리[널다리, 너더리, 판교] 【마을】기픈골 남쪽에 있는 마을, 어귀에 널반자로 놓은 다리가 있었다 함 너-더리 【마을】→널다리 너더리들 【들】깊은골에서 너러리 앞 지역의 들. 널-다리 【마을】→나다리. 느릅-재 [유현] 【고개】너다리 동남쪽에서 강원도(江原道) 영월군(寧越郡) 서면(西面) 쌍용리(雙龍里)로 가는 재, 느릅나무가 많았다 함. 덕재산(호랑바위산)【산】쇳골이 동쪽에 위치한 산으로 호랑이와 비슷한 바위가 있어서 붙인 명칭. 돌무덤 【무덤】칠종마을에 있는 돌의 무덤. 떡할미터 【터】떡 장수 할머니의 무덤이 있었다고 붙여진 이름. 마애-석불(磨崖石佛) 【미륵】 시곡에 있는 미륵. 높이 3자. 너비 3.5자 마애-석불(磨崖石佛)【미륵】 시곡에 있는 미륵. 높이 3자. 너비 3.5자. 목고개【고개】 깊은 골에서 안골로 가는 고개. 뫼막골【골】산 끝자락이라 하여 붙인 명칭. 무동산【산】쇳골을 중심으로 동남쪽에 위치한 산. 물방아터【들】미륵대기 앞 지역. 미륵불 【미륵】1999년 12월 22일 도난으로 멸실. 미를대기 【지역】미륵불이 위치한 곳을 중심으로한 지역. 방아-다리¹[양지 방아다리, 양방학] 【마을】 시곡 서남쪽 양지에 있는 다리 방아-다리²[방학교]【다리】→ 무도리의 ‘방아다리’ 방아다리-못 【못】 방아다리에 있는 저수지. 원래는 작은 못이었는데 1966년 5월 30일 미국의 도움을 받아 저수지로 만듦, 몽리 면적 2,000평. 방학-교(放鶴橋)【다리】→ 방아다리. 벌-담 【마을】 시곡리 벌판에 있는 마을. 범덕골【골】호랑이가 자주 출현하여 붙인 명칭. 삼층석탑(三層石塔)【탑】 소악사터에 있는 삼층석탑. 일제피탈시 12개의 사리(舍利)가 발견되었는데. 총독부에서 가져갔다 함. 새-말 [신촌]【마을】정바우 동남쪽에 있는 마을. 소악사-지(小岳寺祉)【터】→ 소악사 터 소악사지(小岳寺祉) 소악사-터 【터】 옻마루 뒤 소악산에 있는 소악사의 터, 삼층석탑이 남아 있음. 속개들 【들】깊은골 앞 무도천 건너 들

오미리(五味里)

[오미]【리】 본래 제천군 북면(北面)의 지역으로서, 오미자(五味子)가 많이 나므로 오미(五味)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오미리라 해서 송학면에 편입됨. 1980년 4월 1일 제천시 시승격에 따라 제원군 송학면 오미리가 되었다가 1995년 1월 1일 제천시 송학면 오미리가 됨. 나랭이 [일오곡]【마을】오미 북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 나막신-골【마을】선바우 동쪽에 잇는 마을. 지형이 나막신처럼 생겼다함. 느르목-재 [늘목재, 오밋고개]【고개】 오미 동남쪽에서 송한리로 가는 재. 느르목-재[늘목재, 오밋고개]【고개】오미 동남쪽에서 송한리로 가는 재. 늘목-재【고개】→ 느르목재. 들곶-재【고개】상점동 서남쪽 들곶재에 있는 재, 봉양면 직티로 가는 재 못-재[지티]【고개】상점동 남족에서 제천시 모산리로 가는 재. 들곶-재【고개】상점동 서남쪽 들곶재에 있는 재. 봉양면 직티로 가는 재. 못-재 [지티]【고개】 상점동 남쪽에서 제천시 모산리로 가는 재. 선-바우?[입석동]【마을】선바우 밑에 있는 마을. 선-바우?[立石]【바위】오미 동북쪽 산에 우뚝 솟아 잇는 바위. 소-바우 ¹[牛岩]【바위】 소바우가 있는 마을. 소-바우²[우암]【마을】나막신골 서쪽에 있는 바위. 오미(五味)【마을】→ 오미리. 오밋-고개【고개】→ 느르목재. 우-암¹(牛岩)【마을】→ 소바우. 우-암²(牛岩)【바위】→ 소바우. 일오-곡(日吾谷)【마을】→ 나랭이. 입-석(立石)【바위】→ 선바우. 입석-동(立石洞)【마을】→ 선바우. 점-골 [점동, 점말, 전촌]【마을】 평촌 서남쪽에 있는 마을. 옹기점이 있었음. 점-동(店洞)【마을】→ 점골 점-말【마을】→ 점골. 지티(池峙)【마을】→ 못재. 평-촌(平村)【마을】오미 남쪽 들판에 있는 마을.

입석리(立石里)

[입석, 선돌, 선돌배기. 입석부곡] 【리】 본래 제천군 북면(北面)의 지역으로서, 선돌이 있으므로 선돌, 선돌 배기 또는 입석(立石)이라 하였는데. 옛 지방 하급 행정 구획의 하나인 부곡(部曲)을 두어 입석부곡이라 하다가, 부곡은 폐지되어 입석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당곡리(堂谷里)를 병합하여 입석리라 해서 송학면에 편입됨. 1980년 4월 1일 제천시 시승격에 따라 제원군 송학면 입석리가 되었다가, 1995년 1월 1일 시군통합으로 제천시 송학면 입석리가 됨.(행정동은 입석1리, 입석2리, 입석3리로 나누어 있음) 가-꼴 【골】 입석리 맨 끝에 있는 골짜기. 고수-모퉁이 【골】당곡 북동쪽에 위치한 골짜기 곤배-산 【산】 새터말 뒤에 있는 산, 산형이 고무래 정(丁)자처럼 생겼다 함. 광암 【바위】당골 북쪽 지역에 위치한 넓은 바위. 굼-뜰【들】 입석 남쪽 구렁에 있는 들. 금뜩-보 【보】 굼뜰에 있는 보. 넘어당꼴 【골】 당골 동쪽 산등성이 너머에 있는 골짜기. 넘은난-꼴【골】 당골 동쪽 산등성이 너머에 있는 골짜기. 당-꼴 [당곡동] 【마을】입석 북쪽에 있는 마을.해당화(棠)나무가 있다고 당곡(棠谷), 당골로 불려짐. 당산제를 지내던 당나무가 있었음. 당곡-동(堂谷洞)【마을】→ 당꼴. 둔짐-산【산】당꼴 북쪽에 있는 산. 봉우리가 둥그렇게 되었음. 둥지-산 [둔금산(屯金山)]【산】 당꼴 북쪽에 있는 산, 봉우리가 둥지처럼 되었음. 모산-구랭이 【골】입석 못 안쪽에 있는 구렁진 골짜기. 밭-선돌【들】 선돌 바깥쪽에 있는 들. 밭선돌-보 【보】 밭선들에 있는 보, 몽리 면적 2,500평. 백-평(栢坪)【마을】→ 잣들. 본-말【마을】 입석리의 본 마을. 사기장-골 【골】입석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 사기점이 있었음. 사슬-티 【고개】사실고개,사슬치라고도 함. 당꼴 북쪽에서 강원도(江原道) 영월군(寧?郡)주천면(酒泉面) 용석리(龍石里) 사슬티로 가는 고개. 사슬-티【고개】→ 사실고개. 상산-마루【언덕】당골 앞쪽에 있는 작은 산능선.교회가 들어섬. 새텃-말【터】공장이 건설되면서 마을이 없어졌음(아세아 시멘트 동쪽에 위치함 선-돌¹【마을】→ 입석리. 선-돌²【고적】→입석 서남쪽에서 있는 돌, 3단으로 자리잡고 있는데 맨 아래에는 높이 66㎝의 낮고 폭이 넓은 3매석이 흡사 지대석처럼 놓인 위에 높이 96㎝ 폭97㎝와 116㎝의 밑높이 40㎝에 폭 140㎝ 둘레 654㎝의 3매석이 중대석처럼 얹혀 있고 맨 위에 높이 245㎝ 폭 258㎝ 둘레 654㎝ 1석이 올려져 있어 전체가 7매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2001년 문화재로 지정됨. 선돌-들 [입석평, 잣디들]【들】 선돌에 있는 들. 선돌-배기【마을】→ 입석리. 솔-모루【모롱이】 입석 서남쪽에 있는 모롱이. 솔모루-뜰【들】 솔모루 앞에 있는 들. 안-선돌【들】 선돌 안쪽에 있는 들. 안선돌-보 【보】안선돌에 있는 보. 몽리 면적 2,000평. 양천개 【천】자라굴 입-석(立石)¹【마을】→ 입석리. 입-석(立石)²【고적】→ 선돌. 입석-부곡(立石部曲) 【마을】→입석리. 입석-역(立石驛)【역】새터말 남쪽에 있는 태백선 기차역. 입석-평(立石坪)【들】→ 선돌들. 자후-동【마을】→잣디. 잔-다리【논】 입석 서쪽에 있는 다랑논. 잣-들 [栢坪] 【들】 입석 서남쪽에 있는 들. 잣나무가 있었음. 잣-디{자후동] 【마을】 잣들 뒤에 있는 마을. 잣디-들 【들】→선돌들 큰-골【마을】→ 입석 서쪽에 있는 큰 골짜기.

장곡리(長谷里)

【리】본래 제천군 북면(北面)지역인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번자리(番自里)와 일곡리(日谷里)를 병합하여 긴 골짜기 안이되므로 장곡리라 해서 송학면에 편입됨. 1980년 4월 1일 제천시 시승격에 따라 제원군 송학면 장곡리가 되었다가, 1995년 1월 1일 시군통합으로 제천시 송학면 장곡리가 됨. 가-두득[가둑, 음달편]【마을】 번자리 남족 둔덕 음지에 있는 마을, 가둑【마을】→ 가두둑. 고자골【골】샘골과 번자리 사이의 골.옛날에 연못이 있었으나 홍수가 우려되어 없애버렸다고 전함. 관란-정(觀瀾亭)【정】 번자리 뒷산에 있는 정자. 조선 단종 때 충신 직제학(直提學) 원호(元昊)는 단종이 강원도 영월군에서 연금 생활을 하고 있는 것을 알고, 벼슬을 내 놓고 번자리에 와 살면서 이 곳에 정자를 지어 관란정(觀瀾亭)이라 하고, 날마다 이 정자에 올라 단종이 계신 곳을 바라보면서 한숨을 짓고 탄식하다가 날이 저물면 비로소 돌아가고는 하였으며, 철따라 과물(果物)을 나무 함지에 넣어 정자 밑에 흐르는 내에 띄워 단종에게 보냈다 함. 나라치【고개】가둑에서 삽둡으로 가는 고개. 무덤을 만들려고 땅을 파던 중 넓은 돌이 나왔는데 그 돌을 캐니까 꿩이 날았갔다 함. 노적-봉(露積峯) 【산】 일골 앞에 있는 산. 봉우리가 노적가리처럼 생겼다 함. 도동골【골】 나라치 가는 골짜기 마골【전설】마골에서 명마가 태어났으나 말을 탈 장수가 없어서 말이 울다가 명마등(말마등)에서 죽어 묻었다 함. 마애-불상(磨崖彿像)【미륵】 장곡리에 있는 미륵. 높이 5자. 너비 3.3자.1990년 1월1일 새벽 도난으로 멸심 먹구랭이 【산】샘골 북쪽의 뒷산. 구렁이가 나타나면 비가 온다고 함. 명마등(말마등)【산】아세아 시멘트 공장앞 개천 건너의 산 미륵-불(彌勒佛)【미륵】 번자리 서넘쪽 길가에 서 잇는 돌 미륵.밑 부분은 땅 속에 묻혔음. 높이 4.5자 미륵골【산】 미륵이 위치한 곳으로 마골 아래 지역 바둑바위 【바위】원호 선생이 단종에 대한 충절로 혼자 그리움을 달래기 위해 바둑을 두었다는 바위. 번자-리(番自里) [양지편]【마을】 장곡리의 중심되는 마을. 살당박이【들】가둑마을 뒤쪽의 들 삽-둔(揷屯) [삽동]【마을】번자리 동남쪽에 있는 마을. 삽-현(揷峴)【고개】→삽둔고개. 삽동(揷洞【마을】→ 삽둔. 삽둔-고개[삽현]【고개】일골에서 삽둔으로 가는 고개. 삽둔【언덕】 삽모양의 언덕 샘-골[천곡동]【마을】가두둑 서쪽에 있는 마을.수원이 좋으며 맑은 물이 나는 샘이 있음. 샘골-고개[삽현]【고개】샘골에서 가두둑으로 가는 고개 아이고바위 【바위】관란정 아래 부분에 있는 바위. 주변의 경관이 뛰어난 곳으로 유명하고, 원호가 단종의 승하를 애통해 하며 이 바위에서 곡하였다 하여 붙여진 이름. 안-꼴【골】번자리 북쪽 안에 있는 골짜기. 앞-들【들】번자리 앞에 있는 들. 양지-편【마을】→번자리. 음달-편【마을】→ 가두둑. 음지말【마을】 가득 마을 아래 마을 (1972년 수해로 마을은 소멸됨.) 일-골 [일곡동]【마을】→ 장곡리의 으뜸되는 마을. 일곡-동(日谷洞)【마을】→일골. 임자동【마을】1972년 수해로 인하여 형성된 마을(임자년에서 유래) 잠방산 【산】 샘골의 앞에 위치한 산. 장평고개 【고개】강원도 영월군 서면 신천리와 장곡리 사이의 경계(고개)서면 신천리에 5일장이 열렸다하여 장평이라 불리었음. 절골【골】번자리 북쪽 골짜기.(옛 절터가 있었음) 천곡-동(泉谷洞)【마을】→ 샘골.

포전리(浦田里)

[개앗, 포전, 개밭, 개화]【리】 본래 제천군 북면(北面)의 지역으로서, 개울가에 있었으므로 개밭, 개앗 또는 포전(浦田)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노동리(蘆洞里)를 병합하여 포전리라 해서 송학면에 편입됨. 1980년 4월 1일 제천시 시승격에 따라 제원군 송학면 포전리가 되었다가 1995년 1월 1일 시군 통합으로 제천시 송학면 포전리가 됨. 갈-골[노동, 앞말]【마을】개앗 앞에 있는 마을. 갈밭이 있었다 함. 갈밭-구랭이【마을】개앗에 서남쪽 그렁에 있는 마을. 갈대밭이 있음. 개-그늘【논】 개앗에 있는 논. 음지에 있으므로 그늘이 짐. 개-밭【마을】→ 포전리. 개-앗【마을】→ 포전리. 개화(開花)【마을】→ 포전리. 교-동(橋洞)【마을】→ 다릿거리. 노-동(蘆洞)【마을】→ 갈골.작은 갈골 다릿-거리[교동]【마을】포전교 옆에 있는 마을. 뒤실-고개 【고개】뒤실에서 송한리로 가는 고개. 뒤실-못【못】뒤실에 있는 못. 뒤실¹【마을】개앗 뒤쪽에 있는 마을. 뒤실²【들】뒤실에 있는 들. 벌-밭【들】웃담 밑 벌판에 있는 들. 송장-봉【산】지장골 뒤쪽에 있는 산. 봉우리가 송장을 담은 널처럼 생 시장-곡(屍臟谷)【마을】→ 지장골. 앞-말【마을】→ 갈골 앞말-못【못】→ 앞말에 있는 못. 용가둔-굴(龍加屯窟)【굴】포전리에 있는 굴. 웃-담[울말]【마을】개앗 위쪽에 있는 마을. 웃-말【마을】→ 웃담. 작은-갈골【마을】 갈골 옆에 있는 작은 마을. 점-말 [전촌]【마을】갈골 서남쪽에 있는 마을. 조선 말엽에 천주교의 박해를 피하여 천주교인들이 숨어 살면서 오지 그릇을 만들었는데 그 품질이 좋았다고 함. 점촌(店村)【마을】→ 점말. 주막-거리【마을】개앗 북쪽에 있는 마을. 강원도 영월로 가는 옛 관행길가에 주막이 있었음. 주막-삼거리(酒幕三巨里)【길】주막거리 앞에 있는 세 갈림길. 지장-골 [시장곡]【마을】 개앗 서쪽에 있는 마을. 기장이 많았다 함. 송장봉 밑이 됨. 포-전(浦田)【마을】→ 개앗. 포전-교(浦田橋)【다리】포전 남쪽에 있는 다리. 1936년에 놓음. 푯대-봉【산】웃담 뒤에 있는 산. 높이 456m. 측량기점인 푯말이 있음. 품질이 좋다고 함. 한밭-고개【고개】포전 서남쪽에서 도화리로 가는 고개. 큰 밭이 있었음.


담당자정보

부서
문화예술과
전화번호
043-641-5525